본문 바로가기
YONG-ALARM(경제용어알려주는남자)

금리를 결정하는 매파(Hawkish)와 비둘기파(Dovish)

by PocketEconomy 2025. 8. 11.

안녕하세요, 어려운 경제용어를 쉽게 설명해드리는 YONG-ALARM(경제용어 알려주는 남자)입니다!

오늘은 금리, 통화정책 등 금융 뉴스를 볼 때 자주 등장하는, ‘hawkish(매파)’와 ‘dovish(비둘기파)’라는 용어에 대해 쉽게 알아보려 합니다. 처음 들어보면 뭔가 생소하고, 뉴스에선 전문가들이 어렵게 설명하지만, 사실 우리 투자와 일상에도 밀접하게 연결된 아주 중요한 경제용어랍니다. 이 글을 통해 경제 초보자도, 투자 고수도 ‘매파(hawkish)’와 ‘비둘기파(dovish)’의 차이와 쓰임을 확실히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 🦅🐦

매파와 비둘기파: 용어 정의와 기본 개념

‘매파(Hawkish)’와 ‘비둘기파(Dovish)’는 문자 그대로 각각 매(hawk)와 비둘기(dove)에서 유래된 경제 용어입니다. 주로 중앙은행(예: 미국의 연방준비제도, 한국은행)이나 정책 결정자들이 금리·통화정책 방향을 논의할 때 사용돼요.

매파_Hawkish

매파(Hawkish)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에 맞서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거나 긴축 정책을 선호하는 입장입니다. 마치 먹이를 잡으려 사냥에 나서는 매처럼, 경제 과열을 막기 위해 단호하고 적극적인 조치를 주장합니다.

비둘기파(Dovish)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 인하나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선호하는 입장입니다. 평화의 상징인 비둘기처럼, 경제를 안정적으로 성장시키고 실업률을 낮추기 위해 신중하고 완화적인 태도를 취합니다.

비둘기파_Dovish

비유하자면, 친구들과의 모임 비용을 정할 때 전체 예산을 조금 타이트하게 짜는 친구가 매파, 조금 더 여유롭게 쓰자고 주장하는 친구가 비둘기파라고 할 수 있죠.

매파와 비둘기파가 등장한 역사적 배경과 그 이유

이 용어들은 20세기 미국 경제정책 논의에서 자연스럽게 등장했어요. 특히 1970~80년대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과 경기 변동이 심했던 시기에, 중앙은행 내부에서도 “물가를 잡아야 한다(매파)”와 “경기를 살려야 한다(비둘기파)”가 논쟁이 됐죠.

매파(Hawkish)

1970년대 오일쇼크 등으로 극심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자, “강한 금리 인상” 등 고강도 정책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졌습니다.

비둘기파(Dovish)

반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등 경기침체가 닥치면 “용이한 통화공급(금리 인하)” 등 시장을 살리는 데 집중해야 한다는 입장도 늘었습니다.

이후, 금융시장에서는 경기와 물가 모두를 고려해 정책의 무게추가 어디로 기울지 예측하기 위해 ‘매파’와 ‘비둘기파’라는 말이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이 용어들이 중요한 이유

투자자나 일반 독자가 매파적인지, 비둘기파적인지를 알아야 하는 이유는 명확합니다.

1. 정책 방향 예측: 중앙은행이나 주요 인물이 매파인지, 비둘기파인지에 따라 금리와 주가, 환율 등 금융시장 흐름이 크게 바뀌기 때문입니다.

2. 자산운용 전략: 금리가 오른다면 예·적금, 원화 자산이 유리해지고, 반대로 금리가 내리면 주식, 부동산 등 위험자산이 선호됩니다.

3. 경제 흐름 파악: 매파가 우세하면 경기가 과열됐거나 인플레이션 위험이 크다는 신호이고, 비둘기파가 우세하면 경기침체나 실업률 상승 등 우려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금융 뉴스를 볼 때, “이번 연준 의장은 다소 매파적이었다."는 말을 보면, “앞으로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구나”라고 해석할 수 있고, 반대로 비둘기파적이었다고 평가되면, "앞으로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구나"라고 해석되어서 투자 판단에도 도움이 됩니다.

관련 개념 비교


용어 의미 정책 방향 차이점 및 비교
Hawkish(매파) 긴축적·통화수축적 주로 금리 인상, 양적 긴축 인플레이션 우려시 단호, 경기 과열 땐 정책 강화
Dovish(비둘기파) 완화적·통화팽창적 주로 금리 인하, 양적 완화 경기 침체·실업위험 대응, 시장 안정과 성장에 방점
Neutral(중립적) 균형 중시 특별한 조치 없이 대기 매파·비둘기파 중 어느 쪽도 아닌 균형적 입장
매파(Hawkish)비둘기파(Dovish) 한 줄 요약
  1. 매파비둘기파는 중앙은행의 정책 방향을 가늠하는 핵심 용어입니다.
  2. 매파는 물가 잡기에 집중, 비둘기파는 경기 부양에 초점을 둡니다.
  3. 금융·투자 전략, 기업 경영, 국가 정책 등 실생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4. 정책 변화에 따라 자산 포트폴리오 조정이 필요합니다.
  5. 두 용어의 특성을 기억하면 경제뉴스가 더 쉽게 읽힙니다.
  6. 앞으로는 ‘매파/비둘기파’가 나오면 금리와 금융시장 흐름까지 예측할 수 있습니다!